※ 이 글은 한양대학교 이상화교수님의 선형대수 유튜브 강의를 보며 정리한 글입니다. 잘못 이해한 부분이 있을 수도 있으니 많은 피드백 부탁드리겠습니다. 감사합니다. [유튜브 바로가기]
복습 내용
Vector Space
다음 3가지 조건을 만족하는 벡터들의 집합을 vector space
라고 한다.
- 덧셈에 대해 닫혀 있다. \(\rightarrow v_1 \in \mathbb{V}, v_2 \in \mathbb{V} \Rightarrow v_1+v_2 \in \mathbb{V}\)
- 스칼라 곱에 대해 닫혀 있다. \(\rightarrow v_1 \in \mathbb{V}, c \in R \Rightarrow cv \in \mathbb{V}\)
- 위 2번 조건에서 파생된 조건으로, vector space는 반드시 영벡터를 포함한다.
Column Space
기호로는 \(\mathbb{C}(A)\)를 사용하며, 행렬을 column vector들의 모임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는 것을 상기하는 것에서부터 시작한다.
Column Space : 행렬 A의 column vector들로 만들어질 수 있는 선형결합들의 집합
집합기호로 나타내면 다음과 같다.
$$
\{X \mid X = \sum_{i=1}^n c_ia_i\}, A = \begin{bmatrix}a_1 &a_2 &\cdots &a_n \end{bmatrix}
$$
학습할 내용
2.1 中 영벡터공간
위 복습내용 중 Vector Space의 3번째 조건을 살펴보자. vector space가 되기 위해선 곱해지는 모든 실수 C에 대해 닫혀 있어야한다. 즉, c가 0일 때도 위 Vector Space가 되기 위한 2번째 조건은 만족해야 하며, c가 0일 때 좌항은 영벡터가 되므로 이에 따라 vector space \(\mathbb{V}\)는 영벡터를 포함해야 한다는 조건이 파생되게 된다.
영벡터공간 : \(\mathbb{V} = \{0\}\)
이 또한 덧셈에 닫혀 있고, 스칼라 곱에 닫혀있으므로 vector space 이다.
2.1 中 Column Space로 본 Ax = b 일차방정식
TODO: 이부분은 다시 영상을 보고 정리해보도록 하자.
\(\rightarrow\) 정리 완료
Ax = b (b != 0)
$$
\begin{bmatrix}
a_1 &a_2 &\cdots &a_n
\end{bmatrix}\begin{bmatrix}
x_1 \\
x_2 \\
\vdots \\
x_n
\end{bmatrix} = b
$$ 위와 같은 연립방정식이 있다고 하자. 위 식은 다음과 같이 선형결합의 형태로 나타낼 수 있다.
$$
x_1a_2 + x_2a_2 + \cdots + x_na_n = b
$$ 여기서 알 수 있는 것은, vector b는 행렬 A의 선형결합 중 하나로 나온다는 것이다. 이를 Column Space를 이용해서 설명하자면, vector b가 행렬 A의 Column Space에 포함된다면, 적어도 하나의 해가 존재한다.
바꿔말하면, vector b가 행렬 A의 Column Space에 포함되지 않는다면, 이 연립방정식은 해가 없다.
즉, 가우스 소거법이던지 Gauss-Jordan Method라던지 하는 것들을 시도조차 하지 않아도 해가 없다는 것을 알 수 있는 방법이다.
정리
- Ax = b꼴의 1차연립방정식에서 vector b가 column space에 포함된다면 해가 존재하고, 그렇지 않다면 해가 존재하지 않는다.
- Ax = b꼴의 1차연립방정식에서 행렬 A의 역행렬이 존재할 경우에, vector x는 항상 unique하게 결정된다. 이는 \(x = A^{-1}b\)로 나타낼 수 있고, 이 A의 역행렬은 unique하기 때문에 x 또한 unique 하게 된다.
- 이는 vector b가 무엇이던 간에 x는 unique하게 결정된다는 뜻이다.
- 즉, 행렬 A 의 역행렬이 존재한다면, 어느 vector b라도 행렬 A의 column space에 포함된다는 뜻이고, 다시 말하자면 행렬 A의 column space는 vector space의 차원을 모두 span한다는 뜻이다. (span whole space)
- span의 결과가 whole spce를 만들어내는지 아닌지는 A의 역행렬이 존재하느냐 아니냐에 따라 결정된다.
5번의 추가 설명
Span : 가능한 Linear Combination들
→ 행렬 A의 linear combination으로 만들 수 있는 모든 벡터가 whole space를 구성한다는 뜻
→ 행렬 A의 column space가 whole space를 span한다는 뜻
2.1 中 Null Space
행렬 A의 4가지 subspace 중 한가지인 null space
에 대해 살펴봤다. 이 null space는 표기로는 \(\mathbb{N}(A)\) 로 쓰고, 정의는 다음과 같다.
Set of vectors such that Ax = 0(zero-vector)
$$
\mathbb{N}(A) = \{x\mid Ax = 0\}
$$ 즉, 1차 연립방정식에서 행렬 A에 대해 zero vector가 되게 하기 위한 해집합 vector x를 의미한다. 이 null space 또한 vector space이므로 위 vector space가 되기 위한 3가지 조건을 만족한다. 다시 한번 써보자면,
- 덧셈에 대해 닫혀 있다.
- 스칼라 곱에 대해 닫혀 있다.
- 영벡터를 항상 포함한다.
의 성질을 모두 만족한다는 뜻이다.
2.1 中 Null Space의 성질
2.2 中 Solving Ax = 0
이전에도 언급했다싶이, 2장의 주요 관심사는 행렬 A가 Rectangular Matrix일 경우라고 했다. 그 중에서 식의 개수보다 변수의 수가 더 많은 case를 2장에서 주로 다룬다고 했었다. 이들을 푸는 전형적인 방식을 살펴보려 한다.
- Echelon Form U (교과서에는 REF, Row Echelon Form 이라고 명칭)
- Row Reduced Form R (교과서에는 RREF, Row Reduced Echelon Form 이라고 명칭)
- pivot variable과 free variable
- special solution
'AI > Linear Algebr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선형대수] 7일차 - Ax = b(b ≠ 0) 꼴의 해와 선형 독립 그리고 기저와 차원 (0) | 2023.08.13 |
---|---|
[선형대수] 5일차 - Vector Space 란 (0) | 2023.07.15 |
[선형대수] 4일차 - 역행렬과 전치행렬 (0) | 2023.07.11 |
[선형대수] 3일차 - LU 분할 (0) | 2023.07.09 |
[선형대수] 2일차 - 1차 연립방정식과 가우스 소거법 그리고 행렬곱 (0) | 2023.07.06 |